이 책을 처음 접하고, 살펴보면서 에세이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테스트 기법 및 다양한 QA 책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일반적인 기술서적과 결이 조금은 다릅니다.
이 책의 장점은 현재 QA직군에서 오래동안 근무하신 현업분의 입장이 잘 반영되어 있어서
일반 책들과 차이점이 분명하며, 국내 저자분의 경험이 잘 반영되어서 매우 좋았습니다.
기업들마다, QA부서의 존재 여부도 다르며 있은 경우에도 QA부서의 R&R이 매우 다릅니다.
최종 SW의 릴리즈의 권한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하는 부서가 있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QA업무에 종사하시는 분들 및 QA의 역활에 대해서 고민이 있으신 분들
또는 QA직군에 궁금증이 있는 분들은 이책을 통해서 좋은 답을 찾으실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 내용 소개
· QA엔지니어는 테스터가 아니다.
QA엔지니어는 매 순간 품질을 향상 할수 있는 모든일을 고민해야 한다.
가장 먼저 이 책 초반에 강조하는 개념설명은 QA엔지니어 vs 테스터 에 대한 부분입니다.
우리들도 많이 두가지 개념에 대해서 혼란을 가지며, 정확히 해당 역활에 대해서 설명하기 어렵다고 느껴집니다.
- 테스터 : 만들어진 소프트웨어가 요구상에 부합하는지, 버그가 있는지, 사용자가 기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 검증하는 역활
- QA엔지니어 : 좀 더 넓은 영역에서 품질 업무를 수행한다. SW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사전에 품질 위험 요소를 예방하기 위해 전체 개발 프로세스에서 품질을 내재화하고 계속 향상하기 위한 역활
정의된 내용처럼 QA엔지니어의 역활이 더 큰 개념으로 정의 될수 있습니다.
■ 고민 거리 해결
· 테스터와 QA 직무는 성장에 한계가 금방 찾아온다?
- 너무 기능 테스트 위주의 업무만 진행해서 발생된 부분
· 테스터와 QA 엔지니어는 개발자로 취업에 성공하지 못한 사람들인가?
- 질문 내용이 너무 직설적인 부분이 있어서, 저자분은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궁금했습니다.
- 개발자와 QA의 직무에 대해서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차이점에서 발생되는 문제
· 대우받는 테스터와 QA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개발지식을 익혀야 한다?
1장에서 조금 더 많이 QA 업무에 대해서 또는 역활에 대해서 궁금한 내용이 1장에 소개되어 집니다.
· QA엔지니어가 주변에 좋은 분들이 만나기 어려운 이유 및 QA직무에 자부심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등에 대해서 2,3장에서 설명을 합니다
내용을 요약하기 보다는, 글의 제목을 보시고 공감이 가시는 부분이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 이해가 많이 되고, QA조직의 핵심 키워드는 "SW품질"이라는 부분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가기 위해서 유관부서의 인식의 변화도
필요하며, 그것에 준하는 QA의 역활을 정의하고, 개념을 세울수 있습니다.
■ 조금 더 QA엔지니어 접근하기
품질에 대한 강화를 위해서 어떠한 부분을 고민하고 접근해야 하는지 설명합니다.
1) 지속적인 테스트 케이스의 고도화
2) 다양한 테스트 기법의 강화
3) 교육을 통한 품질 개선
4) 테스트의 효율 개선
-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도구 등에 대해서 언급합니다 (selenium, playwright, postman, jmeter, fiddler등)
5) 다양한 분야의 학습을 통한 역량 강화
버그를 예방하기 위한 항목도 제시합니다.
1) 버그를 예방하는 마인드셋
2) 리뷰활동
3) 하나의 목표 바라보기
4) 결과를 수치로 관리하기
5) 구성원의 품질 의식 개선하기
6) 품질 개선 활동에 동참 유도하기
해당 항목 하나하나 별로 각각이 의미를 두고, QA관점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설명합니다.
■ 생각하기, 전파하기
· QA엔지니어 입장에서 사고방식 및 의사소통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에 대한 부분
· 제품과의 거리 조절 하기, 개발자와의 거리 조절하기
- 이런 부분은 정말 현실경험을 통해서 알려주는 내용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 제품을 너무 익숙하게 잘 알아도, 처음 접해보는 입장에서 제품을 바라보기 힘들수 있습니다
- 개발자와의 친밀함이 품질에 영향이 없는 거리 관계 설정도 중요하다고 합니다.
· 훌륭한 QA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목표 설정
<좋은 가이드 예시가 될 것 같습니다>
· 프로젝트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방법, 더 나은 선택을 위한 비용 판단
· 버그에 대한 폭 넓은 시야, 버그를 찾는것 보다 중요한 태도
· 제품을 만드는 마음가짐, 제품을 둘러싼 모두를 만족시키기, 제품 출시 이후에 품질 관리하기
· QA엔지니어로서 자부심 가지기
이러한 평소에 기술적으로만 접근해서 QA 업무를 진행하는 입장에서 벗어나 조금 더 큰 그림을 그릴수 있고
해당 직무에 대한 발전적인 부분을 어떻게 하나하나 수행해 나갈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이 현실감 있는 사례 및 충분한 설명을
통해서 조금 더 구체적인 지식을 얻으실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잘러의 비밀, 챗GPT와 GPTs로 나만의 AI 챗봇 만들기 (0) | 2025.03.17 |
---|---|
행동의 과학, 디자인의 힘 (0) | 2025.02.23 |
무엇이 1등 팀을 만드는가? (0) | 2024.12.21 |
트랜스폼드 (0) | 2024.12.21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가이드북 (0) | 2024.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