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5)
스프링 코딩 공작소 국내에 스프링 관련 책은 많이 출간되었습니다. 일반적인 많이 사용하지 않는 기술에서는 버전업이 된다고 해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책이 출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스프링은 국내 java기반으로 서비스를 하는 곳에서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현재도 다양한 책이 신간으로 나오고 개정판이 나옵니다. 이책에 저의생각을 3줄요약을 미리 하려고 합니다. · 기존에 SpringBoot가 아닌 Spring으로 서비스가 개발된 소스를 유지보수, 개발하시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 Spring에 대해서 조금 더 원리를 알수 있습니다. · maven, log4j, 인터넵터, web.xml 등 많이 사용하지만 조금 더 학습하고자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책을 고르기가 너무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스프링 책도 있고 스프링..
UX/UI 디자이너를 위한 실무 피그마 피그마에 대해서는 많이들 알려지고, 현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디자인 툴은 계속 UI/UX관점도 중요하지만, 개발자와의 협업, 빠른 프로토타입 구성등이 더욱 더 중요해지는 시점인것 같습니다. 아직 책을 읽기 전에 피그마를 사용해본 경험 없이 이책을 통해서 피그마의 내용을 살펴보고려 합니다. 사용하지 전이지만, 평소 전해들은 내용과 책을 보기 전에 궁금한 사항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① 피그마의 결과물을 React에서 활용? (아마 publishing된 파일을 의미하는데, html로 구성이 가능한가?) ② 제플린과 어떠한 부분이 다를까? ③ 어도비에서 인수를 한 제품은 어떠한 강점이 있을까? ■ 피그마를 잘 활용할수 있게 Step by Step · 피그마는 도구 입니다. 그래서 각 메뉴 및 기능에 대..
개발자를 위한 시프트-레프트 테스트 책의 제목에서 보듯이 눈에 들어오는 키워드가 3가지 있습니다. ① 개발자 ② 시프트레프트 ③ 테스트 여기서 처음에 그 의미를 잘 파악하기 어려운 단어는 ② 시프트레프트 입니다. shfit-left : 직독을 하면 왼쪽으로 이동시킨다는 의미입니다. 무엇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는 의미일까요? 네. 맞습니다. 책에서 애기하는 테스트 과정을 의미합니다. 반대개념 및 우리가 보통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개념이 시프트라이트(shift-right)라는 개념도 있습니다. 시프트라이트의 의미는 "무엇보다 제품 개발과정에서 가장 분주한 시점을 후반부에 두든것" 이라고 합니다. 책의 저자분과, 옮긴이의 서문을 보고 이책의 방향성과 어려운 이야기를 매우 쉽고 핵심을 잘 짚어주는 책이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저자는 일본인이지만..
자바스크립트로 배우는 SICP SICP는 무엇의 줄임말일까? 처음 듣어보시는 분들도 계실것 같고, 아시는 분들도 있을것입니다. Structure and Interpretation of Computer Programs 한글로 번역하면, 컴퓨터 프로그램의 구조와 해석로 해석되고 불리어 집니다. 기존에도 이렇게 동일 저자분의 책이 출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에 책은 아래와 같은 장벽이 있었습니다. SICP는 사실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기 유용하고 강력한 프로그램 조직화 방법을 소개하지만 스킴(Scheme)이라는 언어를 사용해 진입 장벽이 있었다. "이번에 새롭게 출간된 SICP는 많은 개발자들에게 친숙한 언어인 자바스크립트로 옮긴 책입니다." 책을 받고 나서 책의 두께에 매우 압도 당했습니다. (p.883) 책이 두꺼운 이유는..
그림으로 배우는 StatQuest 머신러닝 강의 이책은 매우 흥미로운 책입니다. 우선 책의 사이즈부터 일반 책들과 다릅니다. 그림책의 느낌을 내려고, 가로가 더 긴 구성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책은 유명한 유트브에서 "조지 스타머"가 머신러닝에 대해서 조금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작된 영상을 기반으로 합니다. 책이 먼저가 아니고 영상이 먼저 나오고 유명해진 경우입니다. ■ 영상에 대한 정보 https://www.youtube.com/@statquest 머신러닝에 대해서 알려주는 사이트인데, 구독자가 90만명에 이르네요. 유트브 영상을 보시면 처음에 기분좋은 노래로 시작합니다. 영어 자막도 거의 100% 일치하고, 영상을 보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영상에서 BAM, DOUBLE BAM, TRIPLE BAM 을 외칩니다.^^ 책에서도 영상의 느낌이 아주..
4W docker study 책 : 시작하세요! 도커/쿠버네티스 (개정판)을 이용한 Docker스터디 4W 주간 내용 정리 03장: 도커 스웜 책에서도 언급되어 있지만, 해당 역활에 대한 기술이 도커 스윔을 사용하지 않고,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방향으로 실제적인 defactor표준이 되었다. 하지만 그 원리 및 추구하는 방향성을 살펴보는것에 의미가 충분히 있다. 3.1 도커 스웜을 사용하는 이유 왜 필요한지 이해하는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 자원의 부족 (cpu, memory, 등등) → 클러스터링 필요 클러스터링에 필요한 요소 (요 부분은 kafka, k8s등 대부분 동일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들이 존재함) Service Discovery : 컨테이너가 추가되었을때 발견 스케줄러 : 추가된 사항을 어디에 할당할 것인가 로드밸런..
3W docker study 책 : 시작하세요! 도커/쿠버네티스 (개정판)을 이용한 Docker스터디 3W 주간 내용 정리 2.3 도커 이미지 당연히 기본적으로 docker search를 수행하면, 공식 Docker저장소인 도커 허브 "https://hub.docker.com/" 의 정보가 조회된다. docker search ubuntu → docker search docker.io/ubuntu 수행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제공한다. 구글도 해당 도커 저장소를 제공하는 기능이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것 같다. https://cloud.google.com/container-registry?hl=ko (gcr.io 로 저정소 지정) Container Registry | Google Cloud 팀이 한 곳에서 Docker 이미지를 관리하고, ..
2W docker study 책 : 시작하세요! 도커/쿠버네티스 (개정판)을 이용한 Docker스터디 2W 주간 내용 정리 02장: 도커 엔진 2.1 도커 이미지와 컨테이너 도커 엔진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기본 단위 이미지 + 컨테이너 - 2.1.1 도커 이미지 특정 컨테이너를 구성할때 필요한 요소 : 구지 비중으로 비교를 하면, 이미지 < 컨테이너 의 개념 ISO파일과 같은 개념 여러개의 계층으로 된 바이너리 파일로 존재 읽기 전용 이미지의 이름 형태 [저장소]/[이미지이름]:[태그] 저장소는 기본적으로 도커에서 제공하는 docker hub을 의미함 # 여기서 centos:7 의 명령어에서 centos앞에 저장소의 이름은 없다. # 기존적으로 docker hub를 의미하는것이다. docker pull centos:7 - 2.1...